원시인세상/◈글모음◈

어떤 사람으로 깨우쳐 주어야 하는가

원 시 인 2012. 4. 21. 08:43

좌뇌형 우뇌형 테스트

 

                           Q. 다음 이미지의 여자는 어느 방향으로 돌고 있나요?

 

 

A. 시계방향                 B. 반시계방향

 

------------------------------------------------------------------------------------------------

  

A를 선택한 경우 - 우뇌형

B를 선택한 경우 - 좌뇌형

 

우뇌형 인간
- 시각적인 이미지와 패턴에 강함
- 감각적, 직관적
- 동시에 여러가지 사고가 가능, 세부적인 것보다 전체를 봄
- 창조적이고 탐구적 감성적임

 

좌뇌형 인간
- 언어, 숫자에 강함
- 논리적, 분석적
- 수학, 과학을 잘함
- 기억력이 좋고 이해가 빠르며 꼼꼼함 

 

또 다른 테스트

Q1.양손을 모아 깍지를 만들어 보자.

어느쪽 엄지 손가락이 맨 위에 올라와 있는가?

 

Q2. 팔짱을 껴보면 어느 쪽 팔이 위로 올라와 있는가?

------------------------------------------------------------------------------------------------------------------------------------------------

 

1번 문제

왼쪽 엄지손가락 - 우뇌형

오른쪽 엄지손가락 - 좌뇌형

 

2번 문제

왼쪽 팔 - 우뇌형

오른쪽 팔 - 좌뇌형

 

▶ 이 질문에서 깍지가 나타내는 것은 무엇을 보거나 느끼는 정보가 들어올 때 활성화 되는 뇌(input)을 의미하며,  팔짱은 어떤 식으로 행동할 지 등의 밖으로 표출하는 것을 표현하는 뇌(output)를 의미한다. 

 

  

우뇌/우뇌 - 감각, 직관, 이미지로 이해하고 표현하기 때문에 이해는 하지만

                    그것을 타인에게 전달하거나 이해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숨겨진 천재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을지도...

 

우뇌/좌뇌 - 감각, 직관, 이미지로 이해하고 정보를 받아들이지만 그것을 논리적으로 표현 가능함.

                    말을 잘하는 타입이다. 출세하는 타입이기도 하다. 이런 사람이 의외로 적다.

 

좌뇌/좌뇌 - 논리적 성향이 강해서 논리적 사고를 요하는 일을 잘한다.(과학, 수학)

                    의외로 좀 딱딱한 타입의 사람이 많으며 공부를 잘하는 타입

 

좌뇌/우뇌 -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이해는 잘했지만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는 일이 서툴다.

                    정보를 받아들일 때는 논리적인 이해를 잘하기 때문에 이것을 감각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다면

                    굉장한 발명가가 될 수도 있다.

==================================================================================================

 

창의성개발과 두뇌유형을 알아보자 ~

 

미국의 어떤 대학에서 창의성 연구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요즘 어린아이들의 창의성이 20년전에

비해서 많이 떨어진다고 하네요. 지금까지의 인류역사상 지금이 창의가 가장 왕성한 때라고 합니다. 국가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는 창의력!! 이 창의력 개발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창의성 개발과 생각의 중요성

아이슈타인, 피카소, "현대를 만든 두 천재"를 쓴 아서 밀러라는 분은 창의성이 통합적 사고와 상상력에서 나온다고 말했습니다 그 만큼  생각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생각하는 방식이 곧 그 사람을 만든다는 애기' 한번 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만의 생각의 틀을 가지고 있고 이 틀에 따라 생각하고 판단을 하기 때문에 뇌를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따라 우리의 생각이나 문제 해결방식도 달라진답니다. 생각하는 방식이 공부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뇌를 좌뇌와 우뇌로 구분지어서 살펴보고 두뇌유형에 따른 창의성 개발방법을 표로 간단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두뇌유형

특성

창의성 개발

우뇌형

감성이 풍부하고 직관적

집중력을 강화하고 사고력을 키워야 합니다.

문학이나 사회 분야의 구조적이고 분석적인 면을 찾아내는 노력을 하고 이런 분야와 수학을 통합해서 공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좌뇌형

이성적이고 논리적

 유연성과 창의성을 보완하고 상상력을 키워야합니다.

 책을 읽으면서 글쓴이의 생각을 구조화 시켜 분석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써보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좌우뇌형

논리적이면서 감성적

 

 좌우뇌의 충돌을 바로잡고 사회성을 키워야합니다.

 관련없는 두 주제를 직관적으로 연결시키면서 동시에 이들 사이에 논리적 연결고리를 찾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에너지형

진취적이고 도전정신이 강함

 생각과 실행의 끈기를 키워야함, 리더십 교육을 강화하면서 생각의 차원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왜"라고 항상 질문하는 습관을 가져야합니다.  

  

우뇌는 감각적이고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하고, 좌뇌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분석을 합니다.

창의 인재로 자라나기 위해서는 놔, 우뇌를 골고루 쓰는게 필수입니다.

여러분들도 창의력 개발을 위해 훈련해보세요 ~

 

 

어떤 사람으로 깨우쳐줘야 하는가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 성공하는가. 고집 있고 열정을 가진 사람이 성공하는가. 예전에는 인재를 뽑을 때 주어진 내용을 잘 암기하고 풀어낼 수 있는 사람을 똑똑한 인재로 생각하여 뽑았다. 어려운 문제를 잘 푸는 사람일수록 사회에 나가 부딪히는 문제들을 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가르쳐준 문제도 못 푸는 사람이 어찌 가르쳐주지 않은 문제를 풀 수 있겠는가.

    그러나 인생의 진정한 성공은 주어진 문제를 풀어내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전을 하고자 하는 용기와 끈기 그리고 열정이 중요하다. 살면서 예측하지 못한 문제들이 닥치면 공부 잘하는 똑똑한 사람들은 문제를 해결하고 편안함에 안주하려고 한다. 그 똑똑함으로 남보다 많은 이익을 추구하고 보란듯이 살면 행복이라 생각한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떻게 살다 갔는가. 윈스턴 처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갈릴레오 갈릴레이, 다윈, 파스퇴르, 로뎅, 에디슨, 윌슨, 록펠러, 아인쉬타인, 성룡, 톰크루즈 등의 사람들은 어려서 말과 글을 읽거나 쓰지 못하는 난독증이었다. 그래서 학교에서 쫓겨나거나 성적이 낙제 수준이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세상에 역사적 획을 긋는 인물로 남겨졌다.

    우리나라도 과거 학력고사나 수능을 통해 공부 잘하는 학생을 인재로 뽑았으나 이제는 미래의 진정한 숨겨진 인재를 찾아내려고 한다. 그래서 그 학생의 관심과 특기, 그리고 포부(희망)와 문제에 대한 도전의 의지, 창의성을 찾아내려고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고 있다. 단지 공부만 잘하는 사람보다는 공부를 조금 덜하더라도 관심과 도전에 대한 용기가 있는 사람을 뽑을 수 있는 것이다.

 

    중학교 선생님으로 어떤 아이들로 깨우쳐줘야 하는가. 어쩌면 가르친다는 일이 학생이 스스로의 길을 찾아가도록 깨우쳐 주는 일일지 모르지만 늘 선생님으로서의 고민이 앞서는 물음이다. 오늘 '잠재능력개발 자기주도학습능력 신장' 특강을 들었다. 의학박사 박형배(HB브레인연구소 소장) 소장님의 "뇌의 유형을 알면 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교실이 된다."는 주제로 뇌의 네 가지 유형에 따라 사람의 특성이 나눠지고 본래 타고난 특성을 계발하면 인생을 성공적으로 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뇌 팔자에 맞는 일을 하라'고 강조하고 있다.

    Four Brain Thinking Styles를 알면 그 사람이 타고난 두뇌 특성을 알고 사고방식을 이해할 수 있기에 그 사람의 문제 행동과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모와 자녀간에, 교사와 학생간에, 학생과 학생간에 인간관계 갈등을 극복할 수 있으며 타고난 노의 성격적 특성을 계발하여 자신의 직업 적성을 키우고 리더십을 계발하여 훌륭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학교에서는 폭력문제, 직장에서의 인관관계, 부부간의 갈등문제까지도 상담하여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 좌측기저뇌(Basal Left)가 발달한 사람들의 특징은 

    질서정연하고 어떤 일을 일관성 있게 반복할 수 있는 능력

  * 똑같은 방식을 선호                          * 보수적, 전통적, 변화를 싫어함 

  * 정리정돈을 잘함                              * 명백하고 실제적인 것을 선호

  * 명확한 지침에 따라 일을 잘함            * 늘상 반복되는 일상적인 일을 잘함

  *  시간과 규칙을 잘 지킴                     * 절차적인 일정에 따라 하는 일을 잘함

 

▣ 우측기저뇌(Basal Right)가 발달한 사람들의 특징은 

    영적이고 상징적이며 느낌에 바탕을 둔 사고, 상황의 미묘한 면을

    잘 파악하고 비언어적 신호를 바꾸어 표현하는 능력 

  * 사람들과 쉽게 친할 수 있는 능력        * 타인의 감정이나 마음을 잘 읽음 

  * 사람들을 위로 격려 보살피기를 잘함   * 말하기를 좋아함

  * 깊은 배려와 감수성                          * 자발적 희생심이 강함

  * 경쟁을 싫어하고 마찰을 피함             * 직감이 뛰어남

  * 객관성보다는 느낌을 중시                 * 보호본능과 타인의 안녕을 중시

 

▣ 우측전뇌(Frontal Right)가 발달한 사람들의 특징은 

    공간적 내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든 시각적, 비언어적, 은유적 추상

  * 기발하고 창의적                              * 은유적, 추상적, 비언어적 표현능력 

  *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능력               * 변화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

  * 직관적이고 판단이 빠르다                 * 반복이나 지루한 것을 싫어함

  * 많은 아이디어나 과제를 동시에 해결   * 고집이 세고 통제 간섭받는 것 싫어함

  * 새로운 것을 좋아함                          * 좋아하는 것에 자발적,열정적, 희생적

  * 자신 선택하기 원하고 독립심이 강함   * 연관성을 통한 새 아이디어 창조 능력

 

▣ 좌측전뇌(Frontal Left)가 발달한 사람들의 특징은 

    미리 정해진 지침 없이 전체 혹은 그룹을 중요한 범주

    혹은 구성요소로 분리하는 능력 

  * 목표가 뚜렷하고 효율적이다.             * 데이터를 근거로 객관적 합리적 판단 

  * 원인 진단 해결 능력이 뛰어나다         * 분석적이고 정밀한 능력

  * 결정을 내리기 전에 많은 자료 모음     * 자신이 완벽하게 이해되어야 인정

  * 그룹에서의 리더십                           * 수학과 기계를 잘 다룸

  * 지식이 풍부함                                 * 철저하기 때문에 충분한 공부시간

  * 주요 결정을 잘함                             * 이기기 위한 전략을 잘 세움

  * 느낌보다 객관성을 중시                    * 효율성과 합리성을 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