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인세상/◈글모음◈

[인물시]대들보가 될지어라-위당 정인보(詩신호현)

원 시 인 2016. 2. 26. 10:08

[인물시]1993.9 이달의 독립운동가 

 

대들보가 될지어라

 

                - 위당 정인보

 

 

어려서 문장이 능숙하니 

17세에 양명학을 깨우쳤노라

선대로 물려받은 전답 모두 팔아

독립운동기지 자금 지원했노라

 

비밀결사인 동제사 조직하여

조국광복운동에 정열 쏟았노라

이국 타향 굶주림 외로움뿐이지만

꺾이지 않는 의지 붓으로 피어났도다

 

아아! 나라 죽은 슬픔 어이하랴

한평생 검은 옷으로 일관하리니

조선의 뜨거운 숨소리 모아 엮어

'오천년간 조선의 얼'을 집필하노라

 

후학 일깨워 민족의 얼 심고

신문 논설위원으로 필봉 높이 드

올곧은 나무 자라 독립을 쟁취하라

이 나라 조선의 중심 대들보가 될지어라 

 

詩 신 호 현

 

국가보훈처 : http://www.mpva.go.kr/narasarang/month_hero_view.asp?id=190&ipp=12&sType=name&sText=%uC815%uC778%uBCF4

조선일보 : http://forum.chosun.com/bbs.message.view.screen?bbs_id=1030&message_id=1225345

국가보훈처 자유 : https://www.mpva.go.kr/open/open130_view.asp?id=80235

=================================================================================

 

爲堂 정인보(鄭寅普) 선생

1893. 5. 6~1950. 11.

 

, 1913년동제사 조직(중국 상해)

, 동아일보 등 논설위원으로 국혼환기

, 1948년초대 감찰위원장 역임

, 1950년 6.25전쟁 당시 납북 사망

, 1990년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일제(日帝)의 그 혹독한 탄압속에서도 「五千年間 조선의 얼」을 집필하여「얼」만이 眞이요 實이라 하시며, 一言, 一事, 一行, 一動이 깡그리 骨子가「얼」이어야 한다고 「얼思想」을 강조하여 民族精神을 깨우친 爲堂은 1913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비밀결사인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하였으며 붓과 펜으로 일제와 싸우며 국학(國學)보급과 민족문화 앙양에 일생을 바쳤다.

 

어려서부터 재기가 넘쳐 17세에 양명학을 깨우치다

 

선생은 1893년 5월 6일 서울 종현(鍾峴)(지금의 명동성당 부근)에서 호조참판을 지낸 아버지 정간조(鄭間朝)와 어머니 달성 서씨(達城徐氏)의 독자로 태어나 후손이 없는 큰집의 양자로 들어간다. 어려서부터 문장이 능숙하고 재기가 넘쳐서 많은 사람으로부터 총애를 받으며 자라났다.

 

1910년 17세 때 평생의 스승으로 모신 난곡 이건방(蘭谷 李建芳) 선생으로부터 한국화한 양명학을 배워 학문과 정신세계에 큰 영향을 받았다.

 

본명은 인보(寅普)이며 어렸을 때 이름은 경업(經業)이라 하였다. 자(字)는 경시(京施)라 하고 호(號)는 위당(爲堂)이다.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전답을 팔아 독립운동기지 건설자금으로 지원하다

 

1911년과 1912년 두 차례 망국의 한을 품고 압록강을 건너 중국 동북성 회인현 흥도촌(懷仁縣 興道村)과 유하현 삼원보(柳河縣 三源堡) 등지에서 활동하는데 이곳에서 독립기지를 건설하고 있던 이회영(李會榮) 형제를 만나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부평땅 4백~5백 석거리 전답을 팔아 신흥강습소 등 이회영 형제의 독립군양성소를 위한 군자금으로 지원하였다.

 

선생은 1913년 중국 상해로 활동무대를 옮기여 일제와의 투쟁을 다짐하는 박은식(朴殷植), 신규식(申圭植), 신채호(申采浩), 김규식(金奎植) 등 많은 청년애국지사들과 가깝게 지냈으며 이들과 비밀결사인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하여 조국광복운동에 정열을 바치는 한편 굶주림과 외로움을 견디면서 동서양의 많은 서적을 탐독하여 연구에 몰두하였다.

 

나라잃은 슬픔을 나타내고자 한평생을 검은옷으로 일관

 

부인 성씨(成氏)가 동년 9월에 첫딸을 출산후 엿새만에 산고로 타계했다는 비보를 듣고 급히 귀국하였지만 독립에 대한 염원이 변치않아 이때부터 검은색 한복과 모자, 검은색 안경 고무신 차림으로 다니어 부인을 애도하는 뜻만 아니라 나라잃은 슬픔을 조복으로 나타내고자 평생을 이 옷차림으로 일관하였다.

 

국학을 지키고 민족사관(民族史觀)을 정립하는데 진력

 

선생은 1922년 4월부터 연희전문학교의 초빙을 받아 조선문학론과 한문을 강의한다. 그후 중앙불교전문학교, 협성학교, 이화여자전문학교에서 국학 및 동양사를 가르치며 학생들에게 민족의 얼을 환기시키는 한편 동아일보, 시대일보의 논설위원으로서 날카로운 필봉을 휘두르며 민족사관 정립에 심혈을 기울였다. 선생은 일본인들의 왜곡된 학설에 철저히 반론을 제기함은 물론 우리 고대사의 심층연구를 위해 안재홍(安在鴻), 신채호(申采浩), 문일평(文一平), 손진태(孫晋泰) 선생 등과도 힘을 합쳤다.

 

필봉(筆鋒)으로 항일에 나서고, 「5인 독서회」에 연루되어 일경에 검거되다

 

선생은 1926년 융희 황제가 서거하자 6.10만세 운동을 지원했고 「이충무공유적보존회」를 창립, 현충사를 중건했으며 고전을 소개하는 「조선고전해제」를 동아일보에 실었다. 이후 같은 신문에 「단군 개천」,「5천년간의 조선의 얼」을 연재했으며 실학연구를 위한 학문행사도 주도했다. 1937년 「경훈훈민정음서」,「훈민정음운해해제」 등을 저술하여 국학보급과 국어 보존에 기여했다.

 

그해 7월 일제가 중국을 침략하면서 우리말 사용을 금지하고 일어교육만을 강요하게 되자 연희전문학교에서는 선생이 강의하던 조선문학과목을 폐지시켰다.

 

학생들의 저항운동이 전국으로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1940년 10월 중동학교내에 노국환(盧國煥), 조성훈(趙成勳), 황종갑(黃鍾甲), 이기을(李氣乙), 유영하(柳永夏) 등이 중심이 되어 소위 「5인 독서회」를 조직하였다.

 

5인 독서회가 선생을 비롯하여 김성수(金性洙), 송진우(宋鎭禹) 등으로부터 역사연구를 명분으로 국제정세와 조국독립에 관한 강의를 계속 듣는 등 독서회운동이 한창 진행되고 있을 때 황종갑의 편지가 일제의 검열에 발각되면서 선생도 적지않은 고초를 당했다.

 

일제가 창씨개명을 강요하기에 이르자 선생은 견딜 수 없는 모욕속에서 「얼」은 암흑속에 사라지는가. 이제 어디에서 우리의 얼을 찾을 수 있단 말인가. 참으로 가증하다라고 말하고 더이상 교편을 잡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병을 핑계로 휴직을 한뒤 1943년 가족을 이끌고 전북 익산군 황화산(皇華山)으로 들어가 산중생활을 했다.

 

조국 광복 후 국학대학을 설립하여 국학진흥에 힘쓰다

 

2년 후인 1945년 마침내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광복을 맞게 되자 선생은 서울로 귀경, 일제하의 식민정책을 깨끗이 씻어 버리고 연면하게 이어온 국학을 부흥, 발전시키기 위해선 일제로 인해 단절된 우리 얼을 선양하는 일이 무엇보다 급선무라고 판단하고 국학대학을 설립한다.

 

국학발전에 몸바치고 있던 중 1948년 대한민국이 건국돼 감찰위원회가 구성되자 선생은 여러 인사의 천거와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간곡한 요청으로 새 정부의 감찰위원장에 취임 관기획립 및 부정부패 일소에 나섰으나 취임 1년이 지날즈음 자신의 의지로는 이루어 질 수 없음을 깨닫고 감찰위원장 자리를 떠났다.

 

다시 국학대학장에 돌아온 선생은 더욱 우리 얼을 밝혀내는 데 정진했으며 국학대학장을 그만 둔 뒤 서울 회현동에서 역사연구와 집필생활에 몰두하다 6.25전쟁을 맞았다. 미처 피난가지 못한 선생은 1950년 7월 북한으로 납치돼 한동안 생사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가 그해 11월 사망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정부에서는 1990년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으며 1991년 11월 21일 「납북독립유공민족지도자 15위에 대한 추모제전」을 거행하고, 선생의 위패를 국립묘지 충열대의 「납북독립유공자제단」에 모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