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예배]   2025.3.30  야곱의 유언  요셉의 유언  모세의 유언  다윗의 유언

 

야곱의 유언

 

          - 창세기 49:28-33

 

호전적 인디언 마사이 부족 인사는

세라 잉게라로 아이들 잘 있다 하네

아이들이 건강하고 안전한 나라가

진정한 강한 부족이요 나라 됨이라

 

야곱의 유언은 열두 아이 축복하니

그 아이들이 이스라엘 열두 지파라

각 사람의 분량대로 축복하였으니

믿음의 분량대로 지파가 컸음이라  

 

야곱은 태어날 때 형의 발목 잡고

형의 장자권을 훔치는 이기적이나

욕심중심의 인물이 하나님과 싸워

하나님 중심 성화됨이 중함이로다

 

모세도 열두 지파 축복하였나니

야곱의 축복과 대동소이 하더라

살아가는 동안 자녀 위한 축복이

자녀가 번성하고 나라 번영함이라

 

詩 원 시 인

 

"카세리안 잉게라(Kasserian Ingera?)"는 케냐의 마사이족이 사용하는 인사말입니다. 이 말은 "아이들은 잘 지내고 있습니까?"라는 의미로, 마사이족이 공동체와 미래 세대를 중시하는 문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인사말은 단순한 안부 인사가 아니라, 마사이족에게 있어서 아이들의 안녕이 곧 사회 전체의 건강과 지속 가능성을 의미한다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이 인사에 대한 전통적인 대답은 "세라 잉게라 (Sepa Ingera)", 즉 "그들은 잘 지내고 있습니다."**입니다. "사바 사바!(Saba Saba!)"라고도 합니다.

=======================

[창세기 49:28-33]

28.  이들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라 이와 같이 그들의 아버지가 그들에게 말하고 그들에게 축복하였으니 곧 그들 각 사람의 분량대로 축복하였더라
29.  그가 그들에게 명하여 이르되 내가 내 조상들에게로 돌아가리니 나를 헷 사람 에브론의 밭에 있는 굴에 우리 선조와 함께 장사하라
30.  이 굴은 가나안  마므레  막벨라 밭에 있는 것이라 아브라함이 헷 사람 에브론에게서 밭과 함께 사서 그의 매장지를 삼았으므로
31.  아브라함과 그의 아내 사라가 거기 장사되었고 이삭과 그의 아내 리브가도 거기 장사되었으며 나도 레아를 그 곳에 장사하였노라
32.  이 밭과 거기 있는 굴은 헷 사람에게서 산 것이니라
33.  야곱이 아들에게 명하기를 마치고 그 발을 침상에 모으고 숨을 거두니 그의 백성에게로 돌아갔더라

===========================

 

[ New chat 시평]

이 시는 창세기 49장 28-33절에 기록된 야곱의 유언을 중심으로, 신앙과 축복의 의미를 조명하는 내용입니다. 각각의 연을 분석하면서 의미와 표현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연: 마사이 부족의 인사와 강한 나라의 의미

호전적 인디언 마사이 부족 인사는
세라 잉게라로 아이들 잘 있다 하네
아이들이 건강하고 안전한 나라가
진정한 강한 부족이요 나라 됨이라

이 연에서는 마사이 부족의 전통 인사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 **"세라 잉게라로"**라는 인사는 실제로 마사이족이 사용하는 표현이며, 직역하면 **"아이들이 잘 있습니다"**라는 뜻입니다.
  • 이 표현은 단순한 안부가 아니라, 부족의 미래가 곧 아이들에게 달려 있음을 강조하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 이를 통해 시인은 강한 나라는 군사력이나 경제력이 아니라, 아이들이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에서 만들어진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이 메시지는 곧 야곱의 유언과 연결됩니다. 야곱도 자신의 후손들에게 축복을 남김으로써 이스라엘 민족의 번영을 기원했기 때문입니다.

2연: 야곱의 유언과 열두 지파의 축복

야곱의 유언은 열두 아이 축복하니
그 아이들이 이스라엘 열두 지파라
각 사람의 분량대로 축복하였으니
믿음의 분량대로 지파가 컸음이라

  • 야곱이 유언을 남기며 열두 아들을 축복했다는 것은 창세기 49장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 야곱의 아들들은 훗날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가 되며, 이는 신앙 공동체로서의 기초가 됩니다.
  • 시인은 **"각 사람의 분량대로 축복하였으니"**라는 표현을 통해, 하나님께서 사람마다 다른 역할과 축복을 주셨음을 강조합니다.
  • **"믿음의 분량대로 지파가 컸음이라"**라는 표현은 신앙이 곧 번영의 기준이 된다는 점을 시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3연: 야곱의 변화와 신앙적 성숙

야곱은 태어날 때 형의 발목 잡고
형의 장자권을 훔치는 이기적이나
욕심중심의 인물이 하나님과 싸워
하나님 중심 성화됨이 중함이로다

  • 야곱의 삶을 요약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1. "태어날 때 형의 발목 잡고" → 야곱이 태어날 때부터 형 에서의 발꿈치를 잡았던 사건(창세기 25:26)을 말합니다.
    2. "형의 장자권을 훔치는 이기적이나" → 야곱이 형 에서의 장자권을 팥죽 한 그릇으로 빼앗고, 아버지 이삭을 속여 축복을 가로챘던 사건(창세기 27장)을 의미합니다.
    3. "욕심중심의 인물이 하나님과 싸워" → 야곱이 얍복강에서 하나님의 천사와 씨름했던 사건(창세기 32:24-30)을 언급합니다.
    4. "하나님 중심 성화됨이 중함이로다" → 결국 야곱은 욕심 중심의 사람이었다가, 하나님과 씨름하면서 신앙적으로 변화하고 성숙한 인물이 되었음을 강조합니다.

즉, 야곱의 인생을 통해 신앙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4연: 모세의 축복과 자녀 세대의 번영

모세도 열두 지파 축복하였나니
야곱의 축복과 대동소이 하더라
살아가는 동안 자녀 위한 축복이
자녀가 번성하고 나라 번영함이라

  • "모세도 열두 지파 축복하였나니" → 모세 역시 신명기 33장에서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축복합니다.
  • "야곱의 축복과 대동소이 하더라" → 야곱이 열두 아들을 축복했던 내용과 모세가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축복한 내용이 비슷하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 "살아가는 동안 자녀 위한 축복이" → 신앙적으로 보면 부모의 축복이 자녀 세대의 번영과 연결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자녀가 번성하고 나라 번영함이라" → 즉, 신앙적인 축복이 자녀를 번성하게 하고, 결국 나라 전체의 번영으로 이어진다는 메시지입니다.

총평: 신앙적 교훈과 시의 구조

이 시는 야곱의 유언과 신앙적 축복의 의미를 강조하면서, 자녀 세대의 번영이 곧 나라의 번영과 연결됨을 보여줍니다.

  1. 마사이 부족의 인사아이들의 안전과 건강이 강한 공동체를 만든다.
  2. 야곱의 유언열두 지파를 축복하며 믿음의 크기에 따라 축복을 받는다.
  3. 야곱의 변화이기적인 사람이었지만, 하나님과 씨름하며 성숙한 신앙인이 되었다.
  4. 모세의 축복야곱의 축복과 유사하며, 자녀 세대를 축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흐름을 통해, **"자녀와 후손 세대의 번영이 곧 나라의 번영이다"**라는 핵심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신앙적 가르침과 역사적 사건을 연결한 점이 돋보이며, 비교적 쉬운 표현을 사용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